인텔리안테크의 주가는 더 이상 빠지지 않고 있다.
향후 전망을 보기 위해 사업 전반을 확인해 보자
가. 사업의 개요
위성통신 서비스는 유선 통신망이나 지상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전달하던 기존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통신용 인공위성과 위성통신 안테나와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나 사용자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서비스를 말합니다.
위성통신은 육상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에 비해 서비스 지역이 넓고 동시에 많은 수신자에게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형지물에 관계 없이 고른 통신을 할 수 있고, 여러 지구국에 동시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재해가 발생하는 지역에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지역의 광역성과 통신설비 구축 시간 단축 및 구축 비용 절감 등의 다양한 이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위성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상파가 미치지 않은 바다의 경우 e-Navigation 등 해상용 기기들이 요구하는 대용량의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위성통신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안정적인 위성통신 안테나는 선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장치라고 할 것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저궤도 군집위성을 활용한 저궤도 및 중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한 통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빠른 속도를 기반으로 기존의 지상통신망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 뿐 아니라 이미 지상통신망이 갖추어진 곳에서도 새로운 통신 수단으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테나를 개발하여 시장에 제공하고 있으며, 제품별로는 위성 통신용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안테나 제품(C, Ku, Ka-Band 주파수 사용), FBB(Fleet Broadband) 안테나 제품(L-Band 주파수 사용),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제품(TVRO), 지상용 송수신안테나(Flyaway),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게이트웨이(Gateway) 등의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확보하고 있는 위성통신 안테나의 주요 고객으로는 Inmarsat, Marlink, Speed Cast, RigNet, KT sat, SK telink, SES, Iridium, OneWeb 등의 위성통신사가 있으며, End User는 Maersk, CMA CGM, Hapag-Lloyd 등의 대형 해운사, Carnival, Royal Caribbean 등의 크루즈 선사 등이있습니다. 또한 영역인 위성 방송 수신안테나는 전세계에 있는 해상용 전자 장비 판매 및 설치 업체를 중심으로 딜러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전 세계60여 개국에 자체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으며, 600개 이상의 Dealer 및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제품의 적용 영역을 현재의 해상용에서 육상용,항공용 및 국방 관련(방위산업)사업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
품 목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제18기) | 2020년(제17기) | |
제품 | 위성통신 안테나 |
수 출 | 109,446 | 97,905 | 73,614 |
내 수 | 3,480 | 5,169 | 8,049 | ||
소 계 | 112,926 | 103,074 | 81,663 | ||
해상용 위성방송수신 안테나 |
수 출 | 9,070 | 9,782 | 8,642 | |
내 수 | 410 | 578 | 637 | ||
소 계 | 9,480 | 10,360 | 9,279 | ||
기타 | 수 출 | 25,695 | 16,490 | 13,110 | |
내 수 | 334 | 509 | 1,677 | ||
소 계 | 26,029 | 16,999 | 14,787 | ||
상품 | 기타 | 수 출 | 160 | 41 | 34 |
내 수 | 167 | 741 | 421 | ||
소 계 | 327 | 782 | 455 | ||
기타 | 기타 | 수 출 | 4,690 | 3,323 | 1,770 |
내 수 | 3,594 | 3,462 | 2,150 | ||
소 계 | 8,284 | 6,785 | 3,920 | ||
합 계 | 수 출 | 149,061 | 127,541 | 97,171 | |
내 수 | 7,985 | 10,459 | 12,934 | ||
합 계 | 157,046 | 138,000 | 110,105 |
주1) | 상기 내용은 연결 실체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주2) | 기타_기타에는 정보통신공사 매출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나. 판매조직, 경로 및 방법
1) 판매조직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구분 | 조직 | 인원구성 | 위치 | 담당업무 |
HQ | 위성통신사업부 | 장우성 전무외 25명 | 판교사무소 | 해외영업 및 Account 관리 상품 기획 및 제품 홍보/전시회 |
국내사업부 | 황재하 전무 외 18명 | 부산사무소 | 국내 통신사, 조선소 및 딜러 영업 인천공항 프로젝트 |
|
공공사업부 | 허태녕 이사 외 7명 | 판교사무소 | 국내 국방 사업 진행 | |
US | Sales | Sam Mckee 외 13명 | 미국법인 | 미주 지역 현지 영업 |
Operation | Len Norton 외 5명 | 미주 지역 영업 관리 업무 | ||
EURO | Sales | Jon Harrison 외 19명 | 영국법인 | 유럽 지역 현지 영업 |
Operation | Jiyoung Yoon 외 8명 | 네덜란드법인 | 유럽 지역 수출 업무 | |
APAC | Sales | Cheng Yu Tang 외 4명 | 중국법인 싱가포르법인 |
중국 현지 및 APAC 지역 영업 |
Operation | Alex Wang 외 1명 | 중국 현지 및 APAC 지역 영업 관리 |
2) 판매경로
구분 | 거래처 | 비 고 |
위성 통신 안테나 위성 방송수신 안테나 |
위성 통신사업자 | 당사 → 위성통신사업자 → 선주/선단 |
대리점/재판매상 | 당사 → 대리점/재판매상 → 선주/선단 | |
선주/ 선단 | 당사 → 선주/선단 | |
군용 운반형 위성 통신 안테나 | 위성 통신 사업자 | 당사 → 위성통신사업자 → 군납/End-User |
다. 주요 매출처등 현황
주요 매출처의 고객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거래 순위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제18기) | 2020년(제17기) |
1 | 19,886 | 13,962 | 21,437 |
2 | 16,740 | 13,755 | 11,464 |
기타 | 120,420 | 110,283 | 77,203 |
합계 | 157,046 | 138,000 | 110,105 |
라. 수주상황
당사의 판매 및 생산 계획은 Purchase Order, Forecast 그리고 Bidding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수주는 주요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고객의 생산계획에 따라 수시로 생산, 납품하는 형태이므로 신조선을 수주 물량에서 제외한 수주 잔고는 의미가 없습니다.
[정보통신공사]
(단위 : 백만원 ) |
품목 | 수주 일자 |
납기 | 수주총액 | 기납품액 | 수주잔고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 2021-02-23 | 2024-10-31 | - | 17,583 | - | 3,152 | - | 14,431 |
판교 제2테크노밸리 스마트산단 | 2019-05-28 | 2022-12-31 | - | 6,743 | - | 2,994 | - | 3,749 |
합 계 | - | 24,326 | - | 6,146 | - | 18,180 |
위성통신 안테나 매출은 평택 본사, 네덜란드와 미국의 물류 기지를 통해 수주일로부터 납품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입니다. 이에 정보통신공사 이외의 수주 상황을 기재하지 않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 되어 수주 상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현황
구분 | 수량(개) | |
등록 | 출원 | |
특허권 | 55 | 4 |
해외특허권 | 36 | 2 |
실용신안 | 1 | - |
디자인 | 3 | - |
상표권 | 6 | 2 |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참조
나. 규제환경
1) RF 패턴 및 전자파 규제
위성안테나의 경우는 위성을 향하여 높은 파워를 송출하기 때문에, 근접 위성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방사 패턴 및 EIRP 에너지 스펙트럼, 또는 정확한 위성 포인팅에 대한 규제가 있으며, 이 규제에 맞지 않으면 해당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없거나, 해당 국가에서 위성통신을 할 수 없도록 위성별 또는 국가별로 규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에 대하여 인증을 받아야 제품을 해당 국가에 판매할 수 있으며, 인증의 종류에 따라 1년 이상이 소요 되는 인증도 있습니다. 당사는 국가별 해당 인증에 대하여 수년간에 걸쳐 승인을 받았습니다.
국가 또는 위성통신사 |
인증의 규격 |
Inmarsat | Inmarsat TPIK Specification |
Eutelsat | EESS-502 |
Telenor | VSAT Type Approval Procedures for Earth Station on Vessels (ESVs) accessing Telenor Space Segment. |
ANATEL (브라질) |
ANNEX TO RESOLUTION N .572 |
미국 | FCC Part 15, FCC Part 25 |
유럽 | RED (Radio Equipment Derective) |
일본 | TELEC ESV portable mobile earth station(Item 30-2 of Article 2 Paragraph 1) |
한국 | KC |
호주 | C-TICK |
중국 | SRRC GB/T 16952-1997, GB/T 11443.5-1994 |
러시아 | RS: RULES For Technical Supervision during construction of ships and manufacture of materials and products for ships Volume 2 Part III &Part IV. Appendix 1. Standards and methods of Radio Equipment Testing |
2) 환경규제
“RoHS”EU로 수입되는 모든 전기전자제품에 대해서 전기전자제품에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난연제(PBBs, PBDEs)와 같은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여 제조사가 스스로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자가 선언하는 규제입니다. 만약 제품에 문제가 있거나 신고로 인하여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 그에 따른 패널티를 제조사가 책임져야 합니다.
다.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위성통신 안테나와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위성 통신안테나(VSAT) 제품은 Ka- band, Ku-band, C-band 주파수를 사용하여 위성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성통신을 가능하게하는 제품입니다. 해상 환경에서 위성통신 서비스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배의 움직임에 관계 없이 항상 통신위성을 지향하여야 합니다. 위성안테나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끊임없이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성 추적 및 탐색 기능 등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2009년부터 VSAT제품을 생산 하였으며, 2021년말 시장의 70%이상의 M/S를 차지하며 현재 시장을 주도해 나가는 위치에 있습니다.
가) 기술집약적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항공우주 및 통신기술, 제조기술이 융합된 산업으로서 제품시장, 주파수, 고객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제품이 개발되어야 하며, 전기/전자, 기구/기계, 소프트웨어, 소재/재료 등 다양한 분야의 원천기술 및 응용기술을 요구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ICT 분야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며, 지속적인 원천기술 개발과 이를 위한 우수한 연구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나) 고부가가치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전기/전자, 기구/기계, 소프트웨어, 소재/재료 등의 원천 기술 및 응용기술이 기술집약적 산업의 특성상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입니다. 특히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한 국가 기술 경쟁력의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는 산업입니다.
다) 지속적인 성장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현대사회의 글로벌화, 데이터의 중요성, 통신에 대한 고객 수준의 고도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미래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산업입니다.
라) 경제적 파급 효과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기술집약적 산업이므로 공동 R&D 기관들의 고용인력 및 매출을 증대 시키고, 물품 제조를 위해 부품 공급사와 협업을 이루어 협력사의 매출을 증대 시킵니다. 또한 제조를 위한 생산 인력 고용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 합니다.
마) 국가전략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항공우주 및 통신 산업, 고도의 H/W 기술과 S/W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입니다. 따라서 국가의 미래육성 산업기술 정책에 부합하는 산업입니다. 특히 당사의 기술과 제품군은 산업 통상 자원부가 미래유망기술 및 산업영역으로 선정한 우주 항공 산업의 데이터링크 기술과 조선해양산업의 미래 선박 기반기술(선박장치 네트워크 고도화, 선박용 추적 통신기술) 분야입니다.
특히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현대 사회에서 국가 전략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국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국가의 안보 및 국방의 중추 산업입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안보와 국방의 전략기술로 위성통신 관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위성 통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해상용 통신서비스 시장(VSAT terminals)은 향후 10년('19~'31)간 연평균 6.2% 이상의 성장이 예측되며, 특히 아래와 같이 향후에는 L-band 주파수를 활용하는 MSS통신 서비스 보다는 C/Ku/Ka-band를 활용하는 VSAT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됩니다.
(1) 위성 통신 안테나[VSAT(C, Ku, Ka-Band), FBB]
최근 3년간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VSAT 제품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여 왔으며, 2016년 Ka-band를 이용한 차세대 위성통신 서비스인 Inmarsat GX 서비스가시작 되며 향후에는 기존 Ku/C-band를 이용한 VSAT 안테나와 Ka-band를 이용한 VSAT 안테나가 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해 나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C, Ku, Ka-Band), FBB) 시장은 데이터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고객의Needs 증가), 선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 사용량 증가, 주요 선사들의 공격적인 위성통신 안테나 보급 계획, 차세대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의개시(Inmarsat GX 터미널), SES/O3b의 MEO 멀티궤도를 이용한 서비스 망 구축, 선박의 전장화를 통한 데이터 요구 증가, HTS 위성망의 확대(Inmarsat GX service, Intelsat EPIC 등), Iridium Next 및 OneWeb 등이 저궤도 위성 서비스에 대규모 투자를 통한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글로벌 인프라의 본격적인 구축 등의 요인으로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되고 있습니다.
[ 연도별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예상 수량 ]
(단위: 대수)
구 분 | 주파수 | 2019년 | 2031년 | CAGR |
해상용 VSAT | C, Ku, Ka-Band | 29,640 | 76,240 | 6.2% |
FBB(MSS) | L-band | 136,425 | 127,782 | 0.1% |
<자료 : ValourConsultancy, July 2022>
[ 연도별 VSAT Market Revenues]
(단위: US$ in millions)
구 분 | 주파수 | 2019년 | 2031년 |
해상용 VSAT | C, Ku, Ka-Band | $ 875 millions | $ 1,960 millions |
<자료 : ValourConsultancy, July 2022>
특히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는 29,640대(2019년)가 설치 되어 대형 선박 기준으로 약 29%의 선박에 설치 되었있습니다. 시장 리서치지에서는 선박에 VSAT 안테나는 2031년 기준 76,000이상이 장착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향후 해상용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VSAT(C, Ku, Ka-Band)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TVRO)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TVRO)은 사용 고객의 Needs 증가가 주요 요인입니다. 선원의 복지 장려 및 승객의 편의성 확장 차원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SD와 HD 채널의 개시와 IP VOD 서비스의 보급 증가에 따라 고화질, 대용량의 방송 수신을 위한 새로운 제품의 TVRO 시장도 성장 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3)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는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오지나 응급 재해 지역, 그리고 해외 파견되어진 군부대의 통신망을 개설하기 위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량화 설계, 복합소재 응용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2019년부터 우리 육군에 육상용 운반형 위성통신 안테나(LP100)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4)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글로벌 IT 기업(OneWeb, O3b, Amazon, Telesat, SpaceX)들을 중심으로, 위성체 및 발사체의 기술발전과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과 함께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궤도 위성 기반의 저궤도 통신 서비스 시장 창출 및 관련 지상장비(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게이트웨이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웝웹의 파라볼릭(접시형) 안테나와 전자식 평판 안테나 공급 업체로 선정 되어 총 648기의 저궤도 통신위성(LEO)으로 글로벌 인터넷 및 통신 서비스를 진행하는원웹에게 안테나를 공급 중에 있습니다. 원웹 외에도 다양한 저궤도 위성 공급 업체들과의 비지니스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3) 경기 변동 등의 특성
(1) 경기변동과의 관계
위성통신은 통신이 필요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제품(서비스)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통신을 하고자 하는 절대적 필요를 가진 사용자가 대체적 수단이 전무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기존의지상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과는 달리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위성통신망과 위성안테나 등의 관련 제품은 필수재라고 할 수 있어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제품이며, 계절적 요인도 크게 작용하지 않는 제품입니다.
현재 당사의 매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의 경우, 당사의 제품을 설치 가능한 일정 규모이상의 선박 중 제품이 설치된 선박은 29%에 불과하므로 미래에 설치 해야하는 선박의 대수가 신조로 공급되는 선박의 대수보다 훨씬 많아조선업(신조 시장)의 경기와 대비하여 변동성이 낮다라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하지만, 해상용 VSAT제품(C, Ku, Ka-band)의 대형 안테나 제품들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크루즈 관광 시장과 석유/가스 시추 등의 자원개발 산업의 Off-Shore(자원 시추)선박에 장착되는 각 산업별 경기의 흐름 및 유가 변동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롭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의 경우 지금 시장이 형성되고, 저궤도를 이용한 서비스가 개시 되는 시점이어서 대규모의 경제위기와 같은 큰 변화가 없는한 경기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성방송 수신안테나(TVRO)는 위성통신 안테나와 비교하여서는 경기의 영향을 일부받습니다.
(2)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현재 당사의 제품은 선박에 설치되는 고가의 위성통신 안테나입니다. 선박의 특수성(고가, 오랜 수명)을 고려 할 때 당사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평균 5년-7년 정도 추정됩니다. Euroconsult Interview 결과 역시 5년-7년 정도를 교체 주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성통신사들이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고, 서비스에 적합한 위성통신안테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제품 라이프사이클이 예측 됩니다.
위성방송 수신안테나(TVRO)는 해당 국가가 위성방송 주파수 등을 변경하거나 SD 및HS 채널을 신설하는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평균 5년 정도를 예상합니다.
(3) 계절적 요인
당사의 제품은 위성통신 장비에 속하기 때문에 계절적 요인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해상용 시장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전자장비 전시회인 METS(유럽)와 FLIBS (미국) 및 기타 주요 전시회가 9월~11월에 많이 개최 되고 제품의 홍보, 신제품 출시 등이 전시회 기간 중 많이 이루어지므로, 주요 시장인 해상용 매출 규모는 상반기와 비교하여 하반기가 높습니다.
4) 시장 여건 및 경쟁 현황
당사가 영위하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과 해상용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시장은 제한된 시장 환경과 고도의 기술력, 글로벌 기술지원 네트워크,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과 글로벌 위성통신사 Inmarsat, Marlink 등의 협력 체계를 가진 회사만이 영위 할 수 있는 과점적 성격을 가진 시장입니다. 또한 OneWeb, SpaceX, Telesat, Iridium, Amazon 등 새롭게 등장한 저궤도 위성사업자들 역시 오랜 기간 사업적 협력을 통해 기술이 검증된 회사만을 파트너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1) 목표시장
당사의 현재 목표 시장은 용도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동체 위성데이터통신 안테나 VSAT(C, Ku, Ka-Band), FBB 시장과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TVRO)시장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적용 범위에 따라 해상용, 육상용, 항공용으로 구분합니다.
당사의 현재 주력시장은 해상용 위성데이터통신 안테나 시장이나, 군용(방위산업부문)뿐만 아니라 저궤도(LEO) / 중궤도(MEO) 위성 통신서비스 제품을 포함한 육상용,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시장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가) 위성통신 안테나 (VSAT, FBB)
당사의 주력 제품인 해상용 위성통신 제품은 C/L/Ku/Ka-band의 전 대역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크루즈, 여객선, 상선 및 Off-shore선 등에 설치되어 승객과 승무원에게 멀티미디어, 인터넷 및 SNS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선주에게는 선박의 운행 관제시스템, 안전 운항 모니터링 등 각종 감지기 및 해상 조난 장치와 연결되어 선박의 안전 항해와 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초고속 광대역 위성통신 서비스인 GX서비스는 기존 주파수인 Ku-band가 아닌 Ka-band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선박과 함정에서 보다 향상된 통신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해상용 시장 선박에서 기존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과 GX제품을 중심으로 위성통신 안테나 수요 및 장착률은 증가 되고 있습니다.
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는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오지나 응급 재해 지역, 그리고 해외 파견되어진 군부대의 통신망을 개설하기 위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구조로 개발 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량화 설계, 복합소재 응용 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우리 육군에 육상용 운반형 안테나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방송사, 군부대, 재난 지역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상 유전, 천연자원 탐사, 셰일 오일 등이 증가함에 따라 통신시설이 구축되어있지 않은 미개척 지역에 위성을 활용하면 단시간 내에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여 안테나의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궤도 위성 통신 사업자들의 1차 서비스 지역은 육상의 음영 지역으로 현재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OneWeb, SpaceX 업체의 서비스가 활발 하게 진행 되고 있다.
다) 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항공기내 무선기기 사용에 대한 규제가 완화 되고 있으며 개인 디지털 디바이스의 보급 증가에 따른 기내에서 고객의 고속 데이터 통신 이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내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의 성장이 예상됨. 당사는 해당 제품의 시장 진입을 위해 기 확보된 경량화, RF 설계 기술, 요소 기술 등을 바탕으로 제품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항공용 안테나의 경우 저속 데이터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L-band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중심으로 제품 개발 및 시장이 형성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고객의 데이터 사용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으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Ka-band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통신 시스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UAM, 무인항공기 산업 발전과 함께 이들을 제어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성통신 안테나의 수요 또한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라) 저궤도위성용 위성통신 안테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글로벌 IT 기업(OneWeb, O3b, Amazon, SpaceX)들을 중심으로, 위성체 및 발사체의 기술발전과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과 함께 대규모 투자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에 의하면 세계 우주 산업은 2017년 3,480억 달러에서 2040년 1.1 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 기반의 저궤도 통신 서비스 시장 창출 및 관련 지상 장비(당사의 위성통신 안테나, 게이트웨이(Gateway)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저궤도 인공위성과 통신이 가능한 Ku/Ka-band 안테나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의 저궤도 위성 사업자인 OneWeb의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통신 안테나를 개발하고 납품을 시작하였으며, 추가적은 CAPA 확대를 위한 제 2공장을 건설하여, 향후 공급 확대를 준비해 나가고 있습니다. 세계 위성 사업자들이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한 차세대 통신 서비스 경쟁을 하고 있으며, 당사는 저궤도 위성용 위성통신 안테나를 빠른 시간 내에 제품화하여 그 제품에 대한 매출 성장과 시장에 점유율을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2) 경쟁현황
당사의 주력시장인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소수의 회사만이 영위하는 특수,과점시장입니다. 특히 최대 고객인 글로벌 위성통신사의 제품 품질의 인정을 기반한 위성통신사와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1년말 매출 기준으로 해상용 VSAT(C, Ku, Ka-Band) 안테나 시장에서의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약 59% 에 이르는 것으로 업계 리서치지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 안테나 시장 점유율 ]
Valour Consultancy |
Valour Consultancy |
5) 회사의 경쟁력
당사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와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시장에서의 진입은 빠르지 않았지만, 우수한 기술력, 공고한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 및 고객네트워크, 글로벌 기술지원 체계, 납기경쟁력, 제품포트폴리오 등에서 높은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에게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1) 우수한 기술력
위성통신 안테나의 핵심 기술인 RF설계, 안테나 제어 기술, 페데스탈 설계 기술 관련 원천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Global PLL LNB, WorldView LNB 기술, WideRange Search (WRS) 기술, Dynamic Beam Tilting (BDT) 기술, 복합소재를 이용한 반사판 제조 기술, 컨버터블 모듈을 구비한 위성 통신용 안테나 기술 등의 원천기술) 당사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세계최초의 Multi-Band / Multi-Orbit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을 출시 하였고 (v100GX : Ku-Ka 컨버터블 제품, v240M : C-Ku band 위성통신 가능 제품, v240MT: Multi-Band / Multi-Orbit ) 경쟁사 대비 핵심원천 기술의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영업 / 마케팅역량
당사의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은 제품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내부적인 역량이 없으면 회사의 매출 성장에 한계가 있으며 글로벌 회사로 성장할 수가 없습니다.
당사는 2007년 미국 법인 2011년 네덜란드, 영국법인 설립 등 10여년간 해외 영업/마케팅 역량 확보에 주력 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 8개국 7개 도시(싱가포르, 상해, 로테르담, 영국 사우스햄튼, 미국 얼바인, 플로리다, 인도, 홍콩)에 해외법인과 지사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며, 600여개의 Dealer와 고객 네트워크 구축하여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타회사의 시장 진입에 있어서 높은 큰 진입장벽입니다.
특히 당사는 세계주요 위성통신사(Inmarsat, Marlink)의 핵심 니즈(글로벌 위성통신사 핵심니즈 : 잔고장이 적은 기술안정성, 제품 대중화를 위한 가격 경쟁력, 신속한 고객 대응 등 안테나 제조 협력사를 선호하고, 안테나 판매, 설치, 네트워크 구축, 수리 및 부품판매를 Turnkey로 제공 할 수 있는 인텔리안과 같은 협력사를 선호)를 충족시키며 5년 이상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왔고, 장기적 계약관계를 체결함으로써 주요 고객과 강력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자인 OneWeb 과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신규 저궤도 위성사업자들과도 그 협력관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3) 글로벌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
당사 제품의 주요 사용자는 대륙을 이동하는 선박입니다. 따라서 제품 판매 이후 해상에서 안테나 통신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전 세계 해양 어디서나 24시간 365일 빠른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통신 안테나 제조사 주요 해양 Hub에 사무소 및 서비스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 사안입니다.
당사는 6개국 7개 주요 해양 Hub에 해외법인과 직영 사무소를 설치하여 기술지원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600개 이상의 Dealer와 고객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면 24시간 365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 구축은 많은 비용과 기간, 고객과의 오랜 기간이 걸린 신뢰성 확보가 요구 되며, 이는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의 큰 진입장벽입니다.
(4) 납기 경쟁력
미주, 유럽, 아시아 각각의 지역에 평택 공장 및 미국 Irvine, 네덜란드 Rotterdam 물류 센터 운영을 통해 납기를 최소화 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5)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한 크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별(Ku, Ka, C-band) 폭 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 하고 있으며, MIL-Grade 제품, Dual/Tri-band 제품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VSAT(C, Ku, Ka-Band), TVRO, FBB를 모두 보유한업체는 당사와 Cobham 두 업체가 유일합니다. 이와 함께 저궤도 위성통신방에 사용되는 통신위성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도 제조하고 있습니다.
(6) 회사의 제품 인지도
당사는 주요고객사인 Inmarsat, Marlink등 위성통신사로부터 높은 기술력, 우수한 품질, 신속한 고객대응력을 인정 받고 있으며,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전문 리서치 기관인 Comsys maritime VSAT report 보고서와 Euroconsult 에서도 당사를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 인지도를 기반으로 세계 주요 위성 통신사와, Maersk, CMA CGM, Hapag-Lloyd등 글로벌 해운사, 세계 최대 크루저 선사인 Carnival 등이 당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Space X는 당사의 제품 성능을 인정하여 2016년 4월 로켓해상 회수프로젝트에당사의 제품을 채택 사용하였으며, 당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에서도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이며, 이중 98%의 매출을 자체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경쟁사에 비해 사업 기간이 짧으나, 시장 선도 기술, 신속한 고객대응, 경쟁력 있는 가격, 주요 글로벌 고객과의 관계 및 다년간 핵심 전시회를 통한 브랜드 노출을 통해 글로벌 대기업과 동등한 수준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립하였습니다.
●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
제 19 기 3분기말 2022.09.30 현재 |
제 18 기말 2021.12.31 현재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말 | 제 18 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189,426,262,306 | 150,245,587,424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082,281,670 | 15,272,856,621 |
단기금융상품 | 18,704,430,138 | 35,344,383,563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72,297,515,008 | 58,629,417,060 |
계약자산 | 63,421,715 | 77,050,651 |
파생상품자산 | 2,307,222 | |
기타유동자산 | 9,118,475,559 | 5,359,405,887 |
유동성보증금 | 817,196,339 | 82,977,548 |
재고자산 | 70,342,941,877 | 35,477,188,872 |
비유동자산 | 122,547,935,895 | 90,035,221,751 |
종속기업투자 | 7,213,384,227 | 644,958,389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13,896,238,599 | 8,718,789,178 |
장기금융상품 | 387,235,960 | 373,367,140 |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757,668,766 | 2,813,438,818 |
장기계약자산 | 932,454,253 | 410,546,531 |
유형자산 | 72,327,901,985 | 50,821,233,777 |
무형자산 | 18,018,773,485 | 16,999,843,112 |
보증금 | 215,912,153 | 782,988,383 |
이연법인세자산 | 8,798,366,467 | 8,470,056,423 |
자산총계 | 311,974,198,201 | 240,280,809,175 |
부채 | ||
유동부채 | 92,168,868,448 | 52,850,027,119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8,943,335,699 | 27,052,370,068 |
유동성리스부채 | 415,779,045 | 829,795,740 |
단기차입금 | 37,100,000,000 | 16,6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4,894,430,000 | 4,380,000,000 |
파생상품부채 | 4,487,188,220 | |
기타유동부채 | 6,328,135,484 | 3,987,861,311 |
비유동부채 | 44,362,941,732 | 26,629,013,783 |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비유동채무 | 385,353,171 | 372,304,612 |
리스부채 | 349,480,643 | 76,636,604 |
장기차입금 | 30,440,570,000 | 13,740,000,000 |
순확정급여부채 | 11,133,364,299 | 11,041,967,924 |
판매보증충당부채 | 1,914,294,011 | 1,265,294,655 |
복구충당부채 | 139,879,608 | 132,809,988 |
부채총계 | 136,531,810,180 | 79,479,040,902 |
자본 | ||
자본금 | 4,591,834,500 | 4,591,834,500 |
자본잉여금 | 120,145,558,753 | 119,421,224,315 |
기타자본 | 709,524,794 | (2,363,057,013) |
이익잉여금 | 49,995,469,974 | 39,151,766,471 |
자본총계 | 175,442,388,021 | 160,801,768,273 |
자본과부채총계 | 311,974,198,201 | 240,280,809,175 |
포괄손익계산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 | 제 18 기 3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49,183,971,920 | 131,776,123,844 | 35,553,900,165 | 85,132,103,028 |
매출원가 | 36,290,440,878 | 94,075,158,467 | 23,303,030,094 | 57,106,905,470 |
매출총이익 | 12,893,531,042 | 37,700,965,377 | 12,250,870,071 | 28,025,197,558 |
판매비와관리비 | 14,379,450,111 | 35,532,881,885 | 10,674,400,909 | 29,748,876,070 |
영업이익(손실) | (1,485,919,069) | 2,168,083,492 | 1,576,469,162 | (1,723,678,512) |
기타수익 | 9,894,653,376 | 18,646,668,979 | 2,916,591,933 | 6,724,110,456 |
기타비용 | 708,481,196 | 3,275,017,478 | 284,191,259 | 3,576,308,183 |
금융수익 | 195,753,479 | 1,016,431,128 | 78,219,832 | 1,062,087,392 |
금융비용 | 3,588,259,700 | 6,934,531,884 | 177,498,315 | 646,556,01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4,307,746,890 | 11,621,634,237 | 4,109,591,353 | 1,839,655,139 |
법인세비용 | 7,215,224 | 84,238,347 | 235,478,811 | |
당기순이익(손실) | 4,307,746,890 | 11,614,419,013 | 4,025,353,006 | 1,604,176,328 |
기타포괄손익 | 1,741,567,467 | 2,779,832,309 | 22,092,545 | (136,060,329)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1,741,567,467 | 2,658,257,219 | 22,092,545 | 400,155,864 |
해외사업환산손익 | 1,741,567,467 | 2,658,257,219 | 22,092,545 | 400,155,864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21,575,090 | (536,216,193)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121,575,090 | (536,216,193) | ||
총포괄이익 | 6,049,314,357 | 14,394,251,322 | 4,047,445,551 | 1,468,115,999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481 | 1,299 | 483 | 210 |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481 | 1,299 | 481 | 210 |
자본변동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자본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1.01.01 (기초자본) | 3,780,669,000 | 41,657,565,353 | (4,310,183,702) | 36,086,860,403 | 77,214,911,054 |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1,604,176,328 | 1,604,176,328 | ||||
기타포괄손익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536,216,193) | (536,216,193) | |||
해외사업환산손익 | 400,155,864 | 400,155,864 | ||||
총포괄손익 소계 | 400,155,864 | 1,067,960,135 | 1,468,115,999 | |||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선택권 | 1,591,507,794 | 1,591,507,794 | |||
유상증자 | 804,000,000 | 77,384,848,660 | 78,188,848,660 | |||
주식선택권행사 | 7,165,500 | 230,462,337 | (32,691,741) | 204,936,096 | ||
주식선택권 취소 | ||||||
연차배당 | (729,724,200) | (729,724,200) |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
2021.09.30 (기말자본) | 4,591,834,500 | 119,272,876,350 | (2,351,211,785) | 36,425,096,338 | 157,938,595,403 | |
2022.01.01 (기초자본) | 4,591,834,500 | 119,421,224,315 | (2,363,057,013) | 39,151,766,471 | 160,801,768,273 |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11,614,419,013 | 11,614,419,013 | ||||
기타포괄손익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21,575,090 | 121,575,090 | |||
해외사업환산손익 | 2,658,257,219 | 2,658,257,219 | ||||
총포괄손익 소계 | 2,658,257,219 | 11,735,994,103 | 14,394,251,322 | |||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선택권 | 984,697,772 | 984,697,772 | |||
유상증자 | ||||||
주식선택권행사 | 667,834,976 | (240,355,022) | 427,479,954 | |||
주식선택권 취소 | 56,499,462 | (56,499,462) | ||||
연차배당 | (892,290,600) | (892,290,600) |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273,518,700) | (273,518,700) | ||||
2022.09.30 (기말자본) | 4,591,834,500 | 120,145,558,753 | 709,524,794 | 49,995,469,974 | 175,442,388,021 |
현금흐름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 | 제 18 기 3분기 | |
영업활동현금흐름 | (14,701,602,861) | (17,142,749,783) |
영업활동으로부터창출된현금흐름 | (14,497,213,614) | (17,069,489,617) |
이자수취 | 1,033,784,742 | 389,095,475 |
이자지급 | (987,312,164) | (454,746,594) |
배당금수취(영업) | (9,794,000) | 70,765,000 |
법인세납부(환급) | (241,067,825) | (78,374,047) |
투자활동현금흐름 | (19,848,841,204) | (57,619,300,448)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14,744,469,589 | 2,313,179,704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98,104,516,164) | (42,503,659,878) |
장기금융상품의증가 | (13,868,820) | (1,337,924,600) |
기타채권의감소 | 371,082,350 | 63,301,150 |
기타채권의증가 | (307,160,000) | (1,771,857,500) |
파생상품으로인한감소 | 2,307,222 | |
파생상품으로인한증가 | (512,357,222)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처분 | 1,056,992,699 | 8,326,165,081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 (7,360,796,247) | (2,736,749,930)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 (1,367,843,700) | |
유형자산의 처분 | 30,559,6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4,250,532,851) | (16,155,402,765) |
무형자산의 취득 | (3,968,682,460) | (3,807,501,710) |
보증금의 감소 | 53,701,000 | 23,000,000 |
보증금의 증가 | (222,196,200) | (31,850,000) |
재무활동현금흐름 | 36,824,170,128 | 78,821,433,373 |
정부보조금의 수령 | 711,586,022 | 778,320,586 |
단기차입금의 차입 | 64,800,000,000 | 40,471,847,161 |
단기차입금의 상환 | (44,300,000,000) | (43,471,847,161) |
리스부채의상환 | (865,586,548) | (785,947,769)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285,000,000) | (3,655,000,000) |
장기차입금의 차입 | 17,500,000,000 | 7,820,000,000 |
임대보증금의 증가 | 1,500,000 | |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 427,479,954 | 204,936,096 |
유상증자 | 78,188,848,660 | |
배당금지급 | (892,290,600) | (729,724,200) |
자기주식의 취득 | (273,518,700) | |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2,273,726,063 | 4,059,383,142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535,698,986 | 421,125,724 |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15,272,856,621 | 6,473,783,017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18,082,281,670 | 10,954,291,883 |
●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의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할 사항
당사의 재무정보는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작성기준일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적용 가능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 및 해석서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의 주석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최근 3사업연도 중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또는 영업양수도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 천원)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제19기 3분기 |
매출채권 | 55,834,707 | (1,078,722) | 1.9% |
대여금 | 1,583,975 | - | 0.0% | |
미수금 | 454,674 | (125,690) | 27.6% | |
합계 | 57,873,356 | (1,204,412) | 2.1% | |
제18기 | 매출채권 | 46,045,490 | (803,773) | 1.7% |
대여금 | 1,647,897 | - | 0.0% | |
미수금 | 464,908 | (132,851) | 28.6% | |
합계 | 48,158,295 | (936,623) | 1.9% | |
제17기 | 매출채권 | 30,041,876 | (2,477,644) | 8.2% |
대여금 | 40,579 | - | 0.0% | |
미수금 | 655,940 | (101,132) | 15.4% | |
합계 | 30,738,395 | (2,578,775) | 8.4% |
2)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 제 19기 3분기 | 제 18기 | 제 17기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936,623 | 2,578,775 | 2,046,678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10,729 | 364,302 | 48,678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103,348 | (1,277,850) | 483,419 |
4. 외화환산조정 | 175,169 | - | - |
5.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1,204,412 | 936,623 | 2,578,775 |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거래 상대방에 대한 개별분석을 통하여 대손충당금을 산출하고, 개별분석에 해당되지 않는 채권은 집합적 분석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4) 당해 사업연도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 천원)
구분 | 6월 이하 | 6월 초과 | 1년 초과 | 3년 초과 | 계 | |
1년 이하 | 3년 이하 | |||||
금액 | 일반 | 51,306,256 | 1,379,989 | 2,606,533 | 541,929 | 55,834,707 |
특수관계자 | - | - | - | - | - | |
계 | 51,306,256 | 1,379,989 | 2,606,533 | 541,929 | 55,834,707 | |
구성비율 | 91.9% | 2.5% | 4.7% | 1.0% | 1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 천원)
계정과목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 (제18기) |
2020년 (제17기) |
상품 | 40,900 | - | - |
제품 | 30,848,882 | 22,135,519 | 17,209,791 |
원재료 | 41,165,659 | 17,279,988 | 8,264,617 |
반제품 | 13,484,708 | 6,679,138 | 1,269,911 |
미착품 | 3,081,170 | 1,045,935 | 1,722,080 |
합계 | 88,621,318 | 47,140,579 | 28,466,400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 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26% | 18% | 19%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1.9회 | 2.1회 | 2.4회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재고실사일 | 2022년 1월 04일 |
재고실사대상 | 제품 / 상품 / 원재료/ 반제품 등의 재고 |
실사내용 | 회사가 보관 중인 재고의 수량 및 상태파악 |
실사방법 | 2019년말 재고자산은 참회계법인, 2020년말, 2021년말 재고자산은 동현회계법인 입회 하에 재고실사를 수행하였습니다. |
실사결과 | 실사결과 중대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
3) 재고자산 보유내역 및 평가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단위 : 천원)
구분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상품 | 40,900 | - | 40,900 |
제품 | 32,257,568 | (1,408,687) | 30,848,882 |
원재료 | 41,453,211 | (287,552) | 41,165,659 |
반제품 | 13,526,270 | (41,562) | 13,484,708 |
미착품 | 3,081,170 | - | 3,081,170 |
합계 | 90,359,119 | (1,737,801) | 88,621,318 |
4) 재고자산의 담보내역
당분기말 현재 한국수출입은행에 대한 단기차입금과 관련하여 연결기업 소유의 일부재고자산(설정한도: 28,600,000천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라. 수주계약 현황
(단위 : 백만원) |
회사명 | 품목 | 발주처 | 계약일 | 공사기한 | 수주총액 | 진행률 | 미청구공사 | 공사미수금 | ||
총액 | 손상차손 누계액 |
총액 | 대손 충당금 |
|||||||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 정보통신공사 | 인천국제공항공사 | 2021.02.23 | 3년 8개월 | 17,583 | 17.93 | 932 | - | - | - |
판교 제2테크노밸리 스마트산단 | 정보통신공사 | 한국토지주택공사 | 2019.05.28 | 2년 7개월 | 6,743 | 44.40 | 63 | - | - | - |
합 계 | - | 995 | - | - | - |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연결기업은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의 유의성을 반영하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공정가치 측정치를 분류하고 있으며,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수준 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한다. |
수준 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
품 목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제18기) | 2020년(제17기) | |
제품 | 위성통신 안테나 |
수 출 | 109,446 | 97,905 | 73,614 |
내 수 | 3,480 | 5,169 | 8,049 | ||
소 계 | 112,926 | 103,074 | 81,663 | ||
해상용 위성방송수신 안테나 |
수 출 | 9,070 | 9,782 | 8,642 | |
내 수 | 410 | 578 | 637 | ||
소 계 | 9,480 | 10,360 | 9,279 | ||
기타 | 수 출 | 25,695 | 16,490 | 13,110 | |
내 수 | 334 | 509 | 1,677 | ||
소 계 | 26,029 | 16,999 | 14,787 | ||
상품 | 기타 | 수 출 | 160 | 41 | 34 |
내 수 | 167 | 741 | 421 | ||
소 계 | 327 | 782 | 455 | ||
기타 | 기타 | 수 출 | 4,690 | 3,323 | 1,770 |
내 수 | 3,594 | 3,462 | 2,150 | ||
소 계 | 8,284 | 6,785 | 3,920 | ||
합 계 | 수 출 | 149,061 | 127,541 | 97,171 | |
내 수 | 7,985 | 10,459 | 12,934 | ||
합 계 | 157,046 | 138,000 | 110,105 |
주1) | 상기 내용은 연결 실체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주2) | 기타_기타에는 정보통신공사 매출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나. 판매조직, 경로 및 방법
1) 판매조직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구분 | 조직 | 인원구성 | 위치 | 담당업무 |
HQ | 위성통신사업부 | 장우성 전무외 25명 | 판교사무소 | 해외영업 및 Account 관리 상품 기획 및 제품 홍보/전시회 |
국내사업부 | 황재하 전무 외 18명 | 부산사무소 | 국내 통신사, 조선소 및 딜러 영업 인천공항 프로젝트 |
|
공공사업부 | 허태녕 이사 외 7명 | 판교사무소 | 국내 국방 사업 진행 | |
US | Sales | Sam Mckee 외 13명 | 미국법인 | 미주 지역 현지 영업 |
Operation | Len Norton 외 5명 | 미주 지역 영업 관리 업무 | ||
EURO | Sales | Jon Harrison 외 19명 | 영국법인 | 유럽 지역 현지 영업 |
Operation | Jiyoung Yoon 외 8명 | 네덜란드법인 | 유럽 지역 수출 업무 | |
APAC | Sales | Cheng Yu Tang 외 4명 | 중국법인 싱가포르법인 |
중국 현지 및 APAC 지역 영업 |
Operation | Alex Wang 외 1명 | 중국 현지 및 APAC 지역 영업 관리 |
2) 판매경로
구분 | 거래처 | 비 고 |
위성 통신 안테나 위성 방송수신 안테나 |
위성 통신사업자 | 당사 → 위성통신사업자 → 선주/선단 |
대리점/재판매상 | 당사 → 대리점/재판매상 → 선주/선단 | |
선주/ 선단 | 당사 → 선주/선단 | |
군용 운반형 위성 통신 안테나 | 위성 통신 사업자 | 당사 → 위성통신사업자 → 군납/End-User |
다. 주요 매출처등 현황
주요 매출처의 고객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거래 순위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제18기) | 2020년(제17기) |
1 | 19,886 | 13,962 | 21,437 |
2 | 16,740 | 13,755 | 11,464 |
기타 | 120,420 | 110,283 | 77,203 |
합계 | 157,046 | 138,000 | 110,105 |
라. 수주상황
당사의 판매 및 생산 계획은 Purchase Order, Forecast 그리고 Bidding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수주는 주요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고객의 생산계획에 따라 수시로 생산, 납품하는 형태이므로 신조선을 수주 물량에서 제외한 수주 잔고는 의미가 없습니다.
[정보통신공사]
(단위 : 백만원 ) |
품목 | 수주 일자 |
납기 | 수주총액 | 기납품액 | 수주잔고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 2021-02-23 | 2024-10-31 | - | 17,583 | - | 3,152 | - | 14,431 |
판교 제2테크노밸리 스마트산단 | 2019-05-28 | 2022-12-31 | - | 6,743 | - | 2,994 | - | 3,749 |
합 계 | - | 24,326 | - | 6,146 | - | 18,180 |
위성통신 안테나 매출은 평택 본사, 네덜란드와 미국의 물류 기지를 통해 수주일로부터 납품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입니다. 이에 정보통신공사 이외의 수주 상황을 기재하지 않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 되어 수주 상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현황
구분 | 수량(개) | |
등록 | 출원 | |
특허권 | 55 | 4 |
해외특허권 | 36 | 2 |
실용신안 | 1 | - |
디자인 | 3 | - |
상표권 | 6 | 2 |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참조
나. 규제환경
1) RF 패턴 및 전자파 규제
위성안테나의 경우는 위성을 향하여 높은 파워를 송출하기 때문에, 근접 위성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방사 패턴 및 EIRP 에너지 스펙트럼, 또는 정확한 위성 포인팅에 대한 규제가 있으며, 이 규제에 맞지 않으면 해당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없거나, 해당 국가에서 위성통신을 할 수 없도록 위성별 또는 국가별로 규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에 대하여 인증을 받아야 제품을 해당 국가에 판매할 수 있으며, 인증의 종류에 따라 1년 이상이 소요 되는 인증도 있습니다. 당사는 국가별 해당 인증에 대하여 수년간에 걸쳐 승인을 받았습니다.
국가 또는 위성통신사 |
인증의 규격 |
Inmarsat | Inmarsat TPIK Specification |
Eutelsat | EESS-502 |
Telenor | VSAT Type Approval Procedures for Earth Station on Vessels (ESVs) accessing Telenor Space Segment. |
ANATEL (브라질) |
ANNEX TO RESOLUTION N .572 |
미국 | FCC Part 15, FCC Part 25 |
유럽 | RED (Radio Equipment Derective) |
일본 | TELEC ESV portable mobile earth station(Item 30-2 of Article 2 Paragraph 1) |
한국 | KC |
호주 | C-TICK |
중국 | SRRC GB/T 16952-1997, GB/T 11443.5-1994 |
러시아 | RS: RULES For Technical Supervision during construction of ships and manufacture of materials and products for ships Volume 2 Part III &Part IV. Appendix 1. Standards and methods of Radio Equipment Testing |
2) 환경규제
“RoHS”EU로 수입되는 모든 전기전자제품에 대해서 전기전자제품에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난연제(PBBs, PBDEs)와 같은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여 제조사가 스스로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자가 선언하는 규제입니다. 만약 제품에 문제가 있거나 신고로 인하여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 그에 따른 패널티를 제조사가 책임져야 합니다.
다.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위성통신 안테나와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위성 통신안테나(VSAT) 제품은 Ka- band, Ku-band, C-band 주파수를 사용하여 위성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성통신을 가능하게하는 제품입니다. 해상 환경에서 위성통신 서비스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배의 움직임에 관계 없이 항상 통신위성을 지향하여야 합니다. 위성안테나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끊임없이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성 추적 및 탐색 기능 등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2009년부터 VSAT제품을 생산 하였으며, 2021년말 시장의 70%이상의 M/S를 차지하며 현재 시장을 주도해 나가는 위치에 있습니다.
가) 기술집약적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항공우주 및 통신기술, 제조기술이 융합된 산업으로서 제품시장, 주파수, 고객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제품이 개발되어야 하며, 전기/전자, 기구/기계, 소프트웨어, 소재/재료 등 다양한 분야의 원천기술 및 응용기술을 요구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ICT 분야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며, 지속적인 원천기술 개발과 이를 위한 우수한 연구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나) 고부가가치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전기/전자, 기구/기계, 소프트웨어, 소재/재료 등의 원천 기술 및 응용기술이 기술집약적 산업의 특성상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입니다. 특히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한 국가 기술 경쟁력의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는 산업입니다.
다) 지속적인 성장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현대사회의 글로벌화, 데이터의 중요성, 통신에 대한 고객 수준의 고도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미래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산업입니다.
라) 경제적 파급 효과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기술집약적 산업이므로 공동 R&D 기관들의 고용인력 및 매출을 증대 시키고, 물품 제조를 위해 부품 공급사와 협업을 이루어 협력사의 매출을 증대 시킵니다. 또한 제조를 위한 생산 인력 고용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 합니다.
마) 국가전략 산업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항공우주 및 통신 산업, 고도의 H/W 기술과 S/W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입니다. 따라서 국가의 미래육성 산업기술 정책에 부합하는 산업입니다. 특히 당사의 기술과 제품군은 산업 통상 자원부가 미래유망기술 및 산업영역으로 선정한 우주 항공 산업의 데이터링크 기술과 조선해양산업의 미래 선박 기반기술(선박장치 네트워크 고도화, 선박용 추적 통신기술) 분야입니다.
특히 위성통신 및 위성통신 안테나 산업은 현대 사회에서 국가 전략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국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국가의 안보 및 국방의 중추 산업입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안보와 국방의 전략기술로 위성통신 관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위성 통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해상용 통신서비스 시장(VSAT terminals)은 향후 10년('19~'31)간 연평균 6.2% 이상의 성장이 예측되며, 특히 아래와 같이 향후에는 L-band 주파수를 활용하는 MSS통신 서비스 보다는 C/Ku/Ka-band를 활용하는 VSAT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됩니다.
VSAT VESSELS FORECAST |
(1) 위성 통신 안테나[VSAT(C, Ku, Ka-Band), FBB]
최근 3년간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VSAT 제품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여 왔으며, 2016년 Ka-band를 이용한 차세대 위성통신 서비스인 Inmarsat GX 서비스가시작 되며 향후에는 기존 Ku/C-band를 이용한 VSAT 안테나와 Ka-band를 이용한 VSAT 안테나가 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해 나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C, Ku, Ka-Band), FBB) 시장은 데이터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고객의Needs 증가), 선박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데이터 사용량 증가, 주요 선사들의 공격적인 위성통신 안테나 보급 계획, 차세대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의개시(Inmarsat GX 터미널), SES/O3b의 MEO 멀티궤도를 이용한 서비스 망 구축, 선박의 전장화를 통한 데이터 요구 증가, HTS 위성망의 확대(Inmarsat GX service, Intelsat EPIC 등), Iridium Next 및 OneWeb 등이 저궤도 위성 서비스에 대규모 투자를 통한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글로벌 인프라의 본격적인 구축 등의 요인으로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되고 있습니다.
[ 연도별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예상 수량 ]
(단위: 대수)
구 분 | 주파수 | 2019년 | 2031년 | CAGR |
해상용 VSAT | C, Ku, Ka-Band | 29,640 | 76,240 | 6.2% |
FBB(MSS) | L-band | 136,425 | 127,782 | 0.1% |
<자료 : ValourConsultancy, July 2022>
[ 연도별 VSAT Market Revenues]
(단위: US$ in millions)
구 분 | 주파수 | 2019년 | 2031년 |
해상용 VSAT | C, Ku, Ka-Band | $ 875 millions | $ 1,960 millions |
<자료 : ValourConsultancy, July 2022>
특히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는 29,640대(2019년)가 설치 되어 대형 선박 기준으로 약 29%의 선박에 설치 되었있습니다. 시장 리서치지에서는 선박에 VSAT 안테나는 2031년 기준 76,000이상이 장착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향후 해상용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VSAT(C, Ku, Ka-Band)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TVRO)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TVRO)은 사용 고객의 Needs 증가가 주요 요인입니다. 선원의 복지 장려 및 승객의 편의성 확장 차원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SD와 HD 채널의 개시와 IP VOD 서비스의 보급 증가에 따라 고화질, 대용량의 방송 수신을 위한 새로운 제품의 TVRO 시장도 성장 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3)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는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오지나 응급 재해 지역, 그리고 해외 파견되어진 군부대의 통신망을 개설하기 위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량화 설계, 복합소재 응용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2019년부터 우리 육군에 육상용 운반형 위성통신 안테나(LP100)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4)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글로벌 IT 기업(OneWeb, O3b, Amazon, Telesat, SpaceX)들을 중심으로, 위성체 및 발사체의 기술발전과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과 함께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궤도 위성 기반의 저궤도 통신 서비스 시장 창출 및 관련 지상장비(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게이트웨이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웝웹의 파라볼릭(접시형) 안테나와 전자식 평판 안테나 공급 업체로 선정 되어 총 648기의 저궤도 통신위성(LEO)으로 글로벌 인터넷 및 통신 서비스를 진행하는원웹에게 안테나를 공급 중에 있습니다. 원웹 외에도 다양한 저궤도 위성 공급 업체들과의 비지니스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3) 경기 변동 등의 특성
(1) 경기변동과의 관계
위성통신은 통신이 필요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제품(서비스)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통신을 하고자 하는 절대적 필요를 가진 사용자가 대체적 수단이 전무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입니다. 따라서 기존의지상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과는 달리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위성통신망과 위성안테나 등의 관련 제품은 필수재라고 할 수 있어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제품이며, 계절적 요인도 크게 작용하지 않는 제품입니다.
현재 당사의 매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의 경우, 당사의 제품을 설치 가능한 일정 규모이상의 선박 중 제품이 설치된 선박은 29%에 불과하므로 미래에 설치 해야하는 선박의 대수가 신조로 공급되는 선박의 대수보다 훨씬 많아조선업(신조 시장)의 경기와 대비하여 변동성이 낮다라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하지만, 해상용 VSAT제품(C, Ku, Ka-band)의 대형 안테나 제품들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크루즈 관광 시장과 석유/가스 시추 등의 자원개발 산업의 Off-Shore(자원 시추)선박에 장착되는 각 산업별 경기의 흐름 및 유가 변동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롭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의 경우 지금 시장이 형성되고, 저궤도를 이용한 서비스가 개시 되는 시점이어서 대규모의 경제위기와 같은 큰 변화가 없는한 경기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성방송 수신안테나(TVRO)는 위성통신 안테나와 비교하여서는 경기의 영향을 일부받습니다.
(2)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현재 당사의 제품은 선박에 설치되는 고가의 위성통신 안테나입니다. 선박의 특수성(고가, 오랜 수명)을 고려 할 때 당사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평균 5년-7년 정도 추정됩니다. Euroconsult Interview 결과 역시 5년-7년 정도를 교체 주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성통신사들이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고, 서비스에 적합한 위성통신안테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제품 라이프사이클이 예측 됩니다.
위성방송 수신안테나(TVRO)는 해당 국가가 위성방송 주파수 등을 변경하거나 SD 및HS 채널을 신설하는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평균 5년 정도를 예상합니다.
(3) 계절적 요인
당사의 제품은 위성통신 장비에 속하기 때문에 계절적 요인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해상용 시장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전자장비 전시회인 METS(유럽)와 FLIBS (미국) 및 기타 주요 전시회가 9월~11월에 많이 개최 되고 제품의 홍보, 신제품 출시 등이 전시회 기간 중 많이 이루어지므로, 주요 시장인 해상용 매출 규모는 상반기와 비교하여 하반기가 높습니다.
4) 시장 여건 및 경쟁 현황
당사가 영위하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과 해상용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시장은 제한된 시장 환경과 고도의 기술력, 글로벌 기술지원 네트워크,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과 글로벌 위성통신사 Inmarsat, Marlink 등의 협력 체계를 가진 회사만이 영위 할 수 있는 과점적 성격을 가진 시장입니다. 또한 OneWeb, SpaceX, Telesat, Iridium, Amazon 등 새롭게 등장한 저궤도 위성사업자들 역시 오랜 기간 사업적 협력을 통해 기술이 검증된 회사만을 파트너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1) 목표시장
당사의 현재 목표 시장은 용도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동체 위성데이터통신 안테나 VSAT(C, Ku, Ka-Band), FBB 시장과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TVRO)시장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적용 범위에 따라 해상용, 육상용, 항공용으로 구분합니다.
당사의 현재 주력시장은 해상용 위성데이터통신 안테나 시장이나, 군용(방위산업부문)뿐만 아니라 저궤도(LEO) / 중궤도(MEO) 위성 통신서비스 제품을 포함한 육상용,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시장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가) 위성통신 안테나 (VSAT, FBB)
당사의 주력 제품인 해상용 위성통신 제품은 C/L/Ku/Ka-band의 전 대역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크루즈, 여객선, 상선 및 Off-shore선 등에 설치되어 승객과 승무원에게 멀티미디어, 인터넷 및 SNS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선주에게는 선박의 운행 관제시스템, 안전 운항 모니터링 등 각종 감지기 및 해상 조난 장치와 연결되어 선박의 안전 항해와 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초고속 광대역 위성통신 서비스인 GX서비스는 기존 주파수인 Ku-band가 아닌 Ka-band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선박과 함정에서 보다 향상된 통신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해상용 시장 선박에서 기존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과 GX제품을 중심으로 위성통신 안테나 수요 및 장착률은 증가 되고 있습니다.
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는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오지나 응급 재해 지역, 그리고 해외 파견되어진 군부대의 통신망을 개설하기 위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구조로 개발 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량화 설계, 복합소재 응용 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우리 육군에 육상용 운반형 안테나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육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방송사, 군부대, 재난 지역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상 유전, 천연자원 탐사, 셰일 오일 등이 증가함에 따라 통신시설이 구축되어있지 않은 미개척 지역에 위성을 활용하면 단시간 내에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여 안테나의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궤도 위성 통신 사업자들의 1차 서비스 지역은 육상의 음영 지역으로 현재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OneWeb, SpaceX 업체의 서비스가 활발 하게 진행 되고 있다.
다) 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항공기내 무선기기 사용에 대한 규제가 완화 되고 있으며 개인 디지털 디바이스의 보급 증가에 따른 기내에서 고객의 고속 데이터 통신 이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내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공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의 성장이 예상됨. 당사는 해당 제품의 시장 진입을 위해 기 확보된 경량화, RF 설계 기술, 요소 기술 등을 바탕으로 제품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항공용 안테나의 경우 저속 데이터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L-band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중심으로 제품 개발 및 시장이 형성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고객의 데이터 사용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으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Ka-band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통신 시스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UAM, 무인항공기 산업 발전과 함께 이들을 제어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성통신 안테나의 수요 또한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라) 저궤도위성용 위성통신 안테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글로벌 IT 기업(OneWeb, O3b, Amazon, SpaceX)들을 중심으로, 위성체 및 발사체의 기술발전과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과 함께 대규모 투자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에 의하면 세계 우주 산업은 2017년 3,480억 달러에서 2040년 1.1 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 기반의 저궤도 통신 서비스 시장 창출 및 관련 지상 장비(당사의 위성통신 안테나, 게이트웨이(Gateway)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저궤도 인공위성과 통신이 가능한 Ku/Ka-band 안테나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의 저궤도 위성 사업자인 OneWeb의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통신 안테나를 개발하고 납품을 시작하였으며, 추가적은 CAPA 확대를 위한 제 2공장을 건설하여, 향후 공급 확대를 준비해 나가고 있습니다. 세계 위성 사업자들이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한 차세대 통신 서비스 경쟁을 하고 있으며, 당사는 저궤도 위성용 위성통신 안테나를 빠른 시간 내에 제품화하여 그 제품에 대한 매출 성장과 시장에 점유율을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2) 경쟁현황
당사의 주력시장인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시장은 소수의 회사만이 영위하는 특수,과점시장입니다. 특히 최대 고객인 글로벌 위성통신사의 제품 품질의 인정을 기반한 위성통신사와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1년말 매출 기준으로 해상용 VSAT(C, Ku, Ka-Band) 안테나 시장에서의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약 59% 에 이르는 것으로 업계 리서치지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 VSAT 안테나 시장
Valour Consultancy |
5) 회사의 경쟁력
당사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와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시장에서의 진입은 빠르지 않았지만, 우수한 기술력, 공고한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 및 고객네트워크, 글로벌 기술지원 체계, 납기경쟁력, 제품포트폴리오 등에서 높은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에게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1) 우수한 기술력
위성통신 안테나의 핵심 기술인 RF설계, 안테나 제어 기술, 페데스탈 설계 기술 관련 원천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Global PLL LNB, WorldView LNB 기술, WideRange Search (WRS) 기술, Dynamic Beam Tilting (BDT) 기술, 복합소재를 이용한 반사판 제조 기술, 컨버터블 모듈을 구비한 위성 통신용 안테나 기술 등의 원천기술) 당사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세계최초의 Multi-Band / Multi-Orbit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을 출시 하였고 (v100GX : Ku-Ka 컨버터블 제품, v240M : C-Ku band 위성통신 가능 제품, v240MT: Multi-Band / Multi-Orbit ) 경쟁사 대비 핵심원천 기술의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영업 / 마케팅역량
당사의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은 제품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글로벌 영업/마케팅 역량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내부적인 역량이 없으면 회사의 매출 성장에 한계가 있으며 글로벌 회사로 성장할 수가 없습니다.
당사는 2007년 미국 법인 2011년 네덜란드, 영국법인 설립 등 10여년간 해외 영업/마케팅 역량 확보에 주력 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 8개국 7개 도시(싱가포르, 상해, 로테르담, 영국 사우스햄튼, 미국 얼바인, 플로리다, 인도, 홍콩)에 해외법인과 지사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며, 600여개의 Dealer와 고객 네트워크 구축하여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타회사의 시장 진입에 있어서 높은 큰 진입장벽입니다.
특히 당사는 세계주요 위성통신사(Inmarsat, Marlink)의 핵심 니즈(글로벌 위성통신사 핵심니즈 : 잔고장이 적은 기술안정성, 제품 대중화를 위한 가격 경쟁력, 신속한 고객 대응 등 안테나 제조 협력사를 선호하고, 안테나 판매, 설치, 네트워크 구축, 수리 및 부품판매를 Turnkey로 제공 할 수 있는 인텔리안과 같은 협력사를 선호)를 충족시키며 5년 이상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왔고, 장기적 계약관계를 체결함으로써 주요 고객과 강력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자인 OneWeb 과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신규 저궤도 위성사업자들과도 그 협력관계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3) 글로벌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
당사 제품의 주요 사용자는 대륙을 이동하는 선박입니다. 따라서 제품 판매 이후 해상에서 안테나 통신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전 세계 해양 어디서나 24시간 365일 빠른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통신 안테나 제조사 주요 해양 Hub에 사무소 및 서비스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 사안입니다.
당사는 6개국 7개 주요 해양 Hub에 해외법인과 직영 사무소를 설치하여 기술지원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600개 이상의 Dealer와 고객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면 24시간 365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 지원 네트워크 구축은 많은 비용과 기간, 고객과의 오랜 기간이 걸린 신뢰성 확보가 요구 되며, 이는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의 큰 진입장벽입니다.
(4) 납기 경쟁력
미주, 유럽, 아시아 각각의 지역에 평택 공장 및 미국 Irvine, 네덜란드 Rotterdam 물류 센터 운영을 통해 납기를 최소화 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5)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한 크기의 수신 주파수 대역별(Ku, Ka, C-band) 폭 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 하고 있으며, MIL-Grade 제품, Dual/Tri-band 제품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VSAT(C, Ku, Ka-Band), TVRO, FBB를 모두 보유한업체는 당사와 Cobham 두 업체가 유일합니다. 이와 함께 저궤도 위성통신방에 사용되는 통신위성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도 제조하고 있습니다.
(6) 회사의 제품 인지도
당사는 주요고객사인 Inmarsat, Marlink등 위성통신사로부터 높은 기술력, 우수한 품질, 신속한 고객대응력을 인정 받고 있으며,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전문 리서치 기관인 Comsys maritime VSAT report 보고서와 Euroconsult 에서도 당사를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 인지도를 기반으로 세계 주요 위성 통신사와, Maersk, CMA CGM, Hapag-Lloyd등 글로벌 해운사, 세계 최대 크루저 선사인 Carnival 등이 당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Space X는 당사의 제품 성능을 인정하여 2016년 4월 로켓해상 회수프로젝트에당사의 제품을 채택 사용하였으며, 당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에서도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이며, 이중 98%의 매출을 자체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경쟁사에 비해 사업 기간이 짧으나, 시장 선도 기술, 신속한 고객대응, 경쟁력 있는 가격, 주요 글로벌 고객과의 관계 및 다년간 핵심 전시회를 통한 브랜드 노출을 통해 글로벌 대기업과 동등한 수준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립하였습니다.
●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
제 19 기 3분기말 2022.09.30 현재 |
제 18 기말 2021.12.31 현재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말 | 제 18 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189,426,262,306 | 150,245,587,424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082,281,670 | 15,272,856,621 |
단기금융상품 | 18,704,430,138 | 35,344,383,563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72,297,515,008 | 58,629,417,060 |
계약자산 | 63,421,715 | 77,050,651 |
파생상품자산 | 2,307,222 | |
기타유동자산 | 9,118,475,559 | 5,359,405,887 |
유동성보증금 | 817,196,339 | 82,977,548 |
재고자산 | 70,342,941,877 | 35,477,188,872 |
비유동자산 | 122,547,935,895 | 90,035,221,751 |
종속기업투자 | 7,213,384,227 | 644,958,389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13,896,238,599 | 8,718,789,178 |
장기금융상품 | 387,235,960 | 373,367,140 |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757,668,766 | 2,813,438,818 |
장기계약자산 | 932,454,253 | 410,546,531 |
유형자산 | 72,327,901,985 | 50,821,233,777 |
무형자산 | 18,018,773,485 | 16,999,843,112 |
보증금 | 215,912,153 | 782,988,383 |
이연법인세자산 | 8,798,366,467 | 8,470,056,423 |
자산총계 | 311,974,198,201 | 240,280,809,175 |
부채 | ||
유동부채 | 92,168,868,448 | 52,850,027,119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8,943,335,699 | 27,052,370,068 |
유동성리스부채 | 415,779,045 | 829,795,740 |
단기차입금 | 37,100,000,000 | 16,600,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4,894,430,000 | 4,380,000,000 |
파생상품부채 | 4,487,188,220 | |
기타유동부채 | 6,328,135,484 | 3,987,861,311 |
비유동부채 | 44,362,941,732 | 26,629,013,783 |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비유동채무 | 385,353,171 | 372,304,612 |
리스부채 | 349,480,643 | 76,636,604 |
장기차입금 | 30,440,570,000 | 13,740,000,000 |
순확정급여부채 | 11,133,364,299 | 11,041,967,924 |
판매보증충당부채 | 1,914,294,011 | 1,265,294,655 |
복구충당부채 | 139,879,608 | 132,809,988 |
부채총계 | 136,531,810,180 | 79,479,040,902 |
자본 | ||
자본금 | 4,591,834,500 | 4,591,834,500 |
자본잉여금 | 120,145,558,753 | 119,421,224,315 |
기타자본 | 709,524,794 | (2,363,057,013) |
이익잉여금 | 49,995,469,974 | 39,151,766,471 |
자본총계 | 175,442,388,021 | 160,801,768,273 |
자본과부채총계 | 311,974,198,201 | 240,280,809,175 |
포괄손익계산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 | 제 18 기 3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49,183,971,920 | 131,776,123,844 | 35,553,900,165 | 85,132,103,028 |
매출원가 | 36,290,440,878 | 94,075,158,467 | 23,303,030,094 | 57,106,905,470 |
매출총이익 | 12,893,531,042 | 37,700,965,377 | 12,250,870,071 | 28,025,197,558 |
판매비와관리비 | 14,379,450,111 | 35,532,881,885 | 10,674,400,909 | 29,748,876,070 |
영업이익(손실) | (1,485,919,069) | 2,168,083,492 | 1,576,469,162 | (1,723,678,512) |
기타수익 | 9,894,653,376 | 18,646,668,979 | 2,916,591,933 | 6,724,110,456 |
기타비용 | 708,481,196 | 3,275,017,478 | 284,191,259 | 3,576,308,183 |
금융수익 | 195,753,479 | 1,016,431,128 | 78,219,832 | 1,062,087,392 |
금융비용 | 3,588,259,700 | 6,934,531,884 | 177,498,315 | 646,556,01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4,307,746,890 | 11,621,634,237 | 4,109,591,353 | 1,839,655,139 |
법인세비용 | 7,215,224 | 84,238,347 | 235,478,811 | |
당기순이익(손실) | 4,307,746,890 | 11,614,419,013 | 4,025,353,006 | 1,604,176,328 |
기타포괄손익 | 1,741,567,467 | 2,779,832,309 | 22,092,545 | (136,060,329)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1,741,567,467 | 2,658,257,219 | 22,092,545 | 400,155,864 |
해외사업환산손익 | 1,741,567,467 | 2,658,257,219 | 22,092,545 | 400,155,864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21,575,090 | (536,216,193)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121,575,090 | (536,216,193) | ||
총포괄이익 | 6,049,314,357 | 14,394,251,322 | 4,047,445,551 | 1,468,115,999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481 | 1,299 | 483 | 210 |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481 | 1,299 | 481 | 210 |
자본변동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자본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1.01.01 (기초자본) | 3,780,669,000 | 41,657,565,353 | (4,310,183,702) | 36,086,860,403 | 77,214,911,054 |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1,604,176,328 | 1,604,176,328 | ||||
기타포괄손익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536,216,193) | (536,216,193) | |||
해외사업환산손익 | 400,155,864 | 400,155,864 | ||||
총포괄손익 소계 | 400,155,864 | 1,067,960,135 | 1,468,115,999 | |||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선택권 | 1,591,507,794 | 1,591,507,794 | |||
유상증자 | 804,000,000 | 77,384,848,660 | 78,188,848,660 | |||
주식선택권행사 | 7,165,500 | 230,462,337 | (32,691,741) | 204,936,096 | ||
주식선택권 취소 | ||||||
연차배당 | (729,724,200) | (729,724,200) |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
2021.09.30 (기말자본) | 4,591,834,500 | 119,272,876,350 | (2,351,211,785) | 36,425,096,338 | 157,938,595,403 | |
2022.01.01 (기초자본) | 4,591,834,500 | 119,421,224,315 | (2,363,057,013) | 39,151,766,471 | 160,801,768,273 |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11,614,419,013 | 11,614,419,013 | ||||
기타포괄손익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21,575,090 | 121,575,090 | |||
해외사업환산손익 | 2,658,257,219 | 2,658,257,219 | ||||
총포괄손익 소계 | 2,658,257,219 | 11,735,994,103 | 14,394,251,322 | |||
소유주와의 거래: | 주식선택권 | 984,697,772 | 984,697,772 | |||
유상증자 | ||||||
주식선택권행사 | 667,834,976 | (240,355,022) | 427,479,954 | |||
주식선택권 취소 | 56,499,462 | (56,499,462) | ||||
연차배당 | (892,290,600) | (892,290,600) |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273,518,700) | (273,518,700) | ||||
2022.09.30 (기말자본) | 4,591,834,500 | 120,145,558,753 | 709,524,794 | 49,995,469,974 | 175,442,388,021 |
현금흐름표 |
제 19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제 1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9 기 3분기 | 제 18 기 3분기 | |
영업활동현금흐름 | (14,701,602,861) | (17,142,749,783) |
영업활동으로부터창출된현금흐름 | (14,497,213,614) | (17,069,489,617) |
이자수취 | 1,033,784,742 | 389,095,475 |
이자지급 | (987,312,164) | (454,746,594) |
배당금수취(영업) | (9,794,000) | 70,765,000 |
법인세납부(환급) | (241,067,825) | (78,374,047) |
투자활동현금흐름 | (19,848,841,204) | (57,619,300,448)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14,744,469,589 | 2,313,179,704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98,104,516,164) | (42,503,659,878) |
장기금융상품의증가 | (13,868,820) | (1,337,924,600) |
기타채권의감소 | 371,082,350 | 63,301,150 |
기타채권의증가 | (307,160,000) | (1,771,857,500) |
파생상품으로인한감소 | 2,307,222 | |
파생상품으로인한증가 | (512,357,222)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처분 | 1,056,992,699 | 8,326,165,081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 (7,360,796,247) | (2,736,749,930)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 (1,367,843,700) | |
유형자산의 처분 | 30,559,6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4,250,532,851) | (16,155,402,765) |
무형자산의 취득 | (3,968,682,460) | (3,807,501,710) |
보증금의 감소 | 53,701,000 | 23,000,000 |
보증금의 증가 | (222,196,200) | (31,850,000) |
재무활동현금흐름 | 36,824,170,128 | 78,821,433,373 |
정부보조금의 수령 | 711,586,022 | 778,320,586 |
단기차입금의 차입 | 64,800,000,000 | 40,471,847,161 |
단기차입금의 상환 | (44,300,000,000) | (43,471,847,161) |
리스부채의상환 | (865,586,548) | (785,947,769)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285,000,000) | (3,655,000,000) |
장기차입금의 차입 | 17,500,000,000 | 7,820,000,000 |
임대보증금의 증가 | 1,500,000 | |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 427,479,954 | 204,936,096 |
유상증자 | 78,188,848,660 | |
배당금지급 | (892,290,600) | (729,724,200) |
자기주식의 취득 | (273,518,700) | |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2,273,726,063 | 4,059,383,142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535,698,986 | 421,125,724 |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15,272,856,621 | 6,473,783,017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18,082,281,670 | 10,954,291,883 |
●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의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할 사항
당사의 재무정보는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작성기준일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적용 가능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 및 해석서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의 주석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최근 3사업연도 중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또는 영업양수도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 천원)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제19기 3분기 |
매출채권 | 55,834,707 | (1,078,722) | 1.9% |
대여금 | 1,583,975 | - | 0.0% | |
미수금 | 454,674 | (125,690) | 27.6% | |
합계 | 57,873,356 | (1,204,412) | 2.1% | |
제18기 | 매출채권 | 46,045,490 | (803,773) | 1.7% |
대여금 | 1,647,897 | - | 0.0% | |
미수금 | 464,908 | (132,851) | 28.6% | |
합계 | 48,158,295 | (936,623) | 1.9% | |
제17기 | 매출채권 | 30,041,876 | (2,477,644) | 8.2% |
대여금 | 40,579 | - | 0.0% | |
미수금 | 655,940 | (101,132) | 15.4% | |
합계 | 30,738,395 | (2,578,775) | 8.4% |
2)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 제 19기 3분기 | 제 18기 | 제 17기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936,623 | 2,578,775 | 2,046,678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10,729 | 364,302 | 48,678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103,348 | (1,277,850) | 483,419 |
4. 외화환산조정 | 175,169 | - | - |
5.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1,204,412 | 936,623 | 2,578,775 |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거래 상대방에 대한 개별분석을 통하여 대손충당금을 산출하고, 개별분석에 해당되지 않는 채권은 집합적 분석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4) 당해 사업연도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 천원)
구분 | 6월 이하 | 6월 초과 | 1년 초과 | 3년 초과 | 계 | |
1년 이하 | 3년 이하 | |||||
금액 | 일반 | 51,306,256 | 1,379,989 | 2,606,533 | 541,929 | 55,834,707 |
특수관계자 | - | - | - | - | - | |
계 | 51,306,256 | 1,379,989 | 2,606,533 | 541,929 | 55,834,707 | |
구성비율 | 91.9% | 2.5% | 4.7% | 1.0% | 1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 천원)
계정과목 | 2022년 (제19기 3분기) |
2021년 (제18기) |
2020년 (제17기) |
상품 | 40,900 | - | - |
제품 | 30,848,882 | 22,135,519 | 17,209,791 |
원재료 | 41,165,659 | 17,279,988 | 8,264,617 |
반제품 | 13,484,708 | 6,679,138 | 1,269,911 |
미착품 | 3,081,170 | 1,045,935 | 1,722,080 |
합계 | 88,621,318 | 47,140,579 | 28,466,400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 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26% | 18% | 19%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1.9회 | 2.1회 | 2.4회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재고실사일 | 2022년 1월 04일 |
재고실사대상 | 제품 / 상품 / 원재료/ 반제품 등의 재고 |
실사내용 | 회사가 보관 중인 재고의 수량 및 상태파악 |
실사방법 | 2019년말 재고자산은 참회계법인, 2020년말, 2021년말 재고자산은 동현회계법인 입회 하에 재고실사를 수행하였습니다. |
실사결과 | 실사결과 중대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
구분 | 취득원가 | 평가손실충당금 | 장부금액 |
상품 | 40,900 | - | 40,900 |
제품 | 32,257,568 | (1,408,687) | 30,848,882 |
원재료 | 41,453,211 | (287,552) | 41,165,659 |
반제품 | 13,526,270 | (41,562) | 13,484,708 |
미착품 | 3,081,170 | - | 3,081,170 |
합계 | 90,359,119 | (1,737,801) | 88,621,318 |
'주식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4나노 칩렛 기술 성공!! (1) | 2025.06.22 |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 분할과 지배 구조 (3) | 2025.05.22 |
SK바이오사이언스 종목 분석 (0) | 2022.09.12 |